이번 주 계획
이번 주의 주요 목표는 다양한 컴포넌트에 대한 API 구현이었다.
모든 컴포넌트의 API를 완성하려 했으나, 예상치 못한 어려움으로 한 컴포넌트의 API 구현에만 집중하게 되었다.
차질
생각보다 프론트엔드 코드를 백엔드와의 연계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구현해서 버그를 수정하는 데 예상 외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일단 보여주는 것들을 빠르게 구현하고 싶은 욕심에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어야 할 부분들을 정적으로 구현해 API로 관리할 수 없는 상태로 만들었다.
이로 인해 후속 변경 작업이 어려워졌고, 코드를 변경하면서 많은 버그가 발생했다.
또 차질이 생긴 이유는 코드 간 의존성을 너무 강하게 설계해서 이렇게 되었다고 느꼈다.
컴포넌트의 기능(추가, 삭제 등)을 재사용 가능하도록 분리하려 했으나, 실제로 구현할 때 예상과 달리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아 어려움을 겪었다.
그래서 3일 동안 똑같은 API 구현에만 매달리게 되었다.
백엔드에서 어떤 데이터가 올 지 사전에 충분히 고려한 후, 그 다음에 프론트엔드 코드를 작성해야 한다는 점을 절실히 깨달았다.
앞으로 데이터 흐름을 미리 설계를 해서, 더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프론트엔드 구조를 만들자.
리팩터링
2-3주차 사이 주말에 대대적인 폴더 구조 개편을 진행했다.
이어서 3주차 평일에는 프론트엔드 코드의 중복되는 부분들을 많이 합쳤다.
이 리팩터링 과정에서 멘토님의 조언이 큰 도움이 되어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었다. 코드리뷰 최고 멘토님 최고
멘토님의 코드리뷰
이번 주부터 멘토님께서 정기적으로 코드 리뷰를 진행해주시는 시간이 새로 생겼다.
멘토님이 편한 시간에 코드를 보시고 왜 여기다 적었는지 원인을 알 수 없는 의문의 코드나 이상한 코드가 있으면 지적해주셨다.
코드 리뷰를 통해 깨달은 중요한 느낀 점은 모든 코드에 명확한 근거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당연한 건데 그 동안에는 누군가가 평가한다는 그런 의식이 없어서 날림으로 많이 짠 것 같다.
특히 AI의 도움을 받으면서 깊이 있게 생각을 안 하고 코드를 짜는게 제일 큰 문제
지금까지 단순히 구현에만 초점을 맞추고 깊이 있게 고민을 하지 않고 넘어간 것에 대해 반성을 했다.
베이직, 챌린지 과정에서도 많이 느꼈던 점이지만, 이번 경험을 통해 더욱 근거 있는 코드를 작성하자.
예상치 못한 마스터 클래스 시간에서의 코드 리뷰
이번 주 금요일 마스터 클래스 시간에 예상치 못하게 코드 리뷰를 받게 되었다.
원래는 마스터 클래스를 하기 전, 혹은 하면서 사전에 신청을 하는 방식이었는데, 시간이 남아 무작위로 선정되어 갑자기 리뷰 대상이 되었다.
당시 내 코드는 정리가 되어 있지 않았고 완성도도 낮아서 리뷰받고 싶지 않은 상태였다. 잘 알려진 코드를 적용해보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자신감이 없었다.
하지만 금요일 코드 리뷰를 통해 중요한 점을 깨달았다. 로그인 기능을 구현하면서 인증 기능을 만들었기 때문에 완성 했다고 생각했지만, 인가 부분을 놓쳤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API에서 인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면 인증 자체가 무의미하다는 점을 인식하게 되었다.
코드를 구현하는 속도에만 치중하지 말고, 구현하는 기능 하나하나의 의미를 신중히 고려해 개발하는 것을 다음 주의 목표로 삼아야겠다.
'Life > 네이버 부스트캠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스트캠프 9기 멤버십] 6주차 회고록 (4) | 2024.10.06 |
---|---|
[부스트캠프 9기 멤버십] 5주차 회고록 (1) | 2024.09.29 |
[부스트캠프 9기 멤버십] 1주차 회고록 (0) | 2024.09.29 |
[부스트캠프 9기 멤버십] 17일차 학습 정리 (0) | 2024.09.10 |
[부스트캠프 9기 멤버십] 16일차 학습 정리 (0) | 2024.09.09 |
컴퓨터 전공 관련, 프론트엔드 개발 지식들을 공유합니다. React, Javascript를 다룰 줄 알며 요즘에는 Typescript에도 관심이 생겨 공부하고 있습니다. 서로 소통하면서 프로젝트 하는 것을 즐기며 많은 대외활동으로 개발 능력과 소프트 스킬을 다듬어나가고 있습니다.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