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 프로세스의 상태 변화, 프로세스 제어 블록 (PCB)](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zNZ16%2FbtsH3ArCgN9%2FzzsHM22BKzuDTv0Ncowdm1%2Fimg.jpg)
프로세스의 상태 변화와 상태 정보운영체제는 프로세스의 실행을 제어하고 프로세스는 실행 중에 상태가 변함따라서 운영체제는 프로세스 제어에 필요한 상태를 점검하고 관리해야 함프로세스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프로세스 제어 블록PCB에 대해 소개 프로세스의 상태 변화프로세스 상태 구분실행 상태비실행 상태프로세스 생성과 초기화운영체제가 프로세스를 생성하면 비실행 상태로 초기화되어 실행을 기다림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종료하거나 인터럽트 발생 시, 비실행 상태 프로세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실행 상태로 전환 (디스패치)상태 세분화준비 상태실행 상태대기(보류) 상태상태 변화 관리작업 스케줄러와 프로세스 스케줄러를 이용하여 관리작업 스케줄러: 스풀러에 저장된 작업 중 실행할 작업을 선정하여 준비 리스트에 삽입프로..
![[운영체제] 프로세스의 개념](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ljuqb%2FbtsH4EGzCRf%2FoaU4bGGsigKBGjiysaxfdk%2Fimg.jpg)
초기 컴퓨터 시스템과 다중 프로그래밍초기 컴퓨터 시스템프로그램을 한 번에 하나씩 실행실행 중인 프로그램이 모든 컴퓨터 자원을 독점다중 프로그래밍 환경여러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동시에 적재 후 병행 실행컴퓨터 효율성 크게 향상병행 실행 프로그램들은 자원 공유 필요자원 공유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프로세스 개념 도입 프로세스의 정의와 기원'프로세스' 용어 기원1960년대 멀틱스Multics 운영체제에서 처음 사용IBM 운영체제에서는 '작업task’ 으로 불림프로세스 정의실행 중인 프로그램비동기적asynchronous 행위실행 중인 프로시저실행 중인 프로시저의 제어 흐름운영체제에 존재하는 프로세스 제어 블록PCB프로세서에 할당되어 실행 가능한 객체 (디스패치 가능한 대상..

본 게시글은 그림으로 배우는 구조와 원리 운영체제 (개정 3판) - 연습문제 3장 풀이입니다. 제가 이 책을 공부하면서 풀었던 풀이의 흔적이므로 정답이 아닐 수 있습니다. 혹여나 틀린 부분이 있어 오류를 댓글로 지적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프로세스를 바르게 설명한 것끼리 나열한 것은? (ㄱ) 실행 가능한 PCB가 있는 프로그램 (ㄴ) 프로세서가 할당하는 개체로 디스패치가 가능한 단위 (ㄷ) 목적 또는 결과에 따라 발생하는 사건들의 과정 (ㄹ) 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 ① ㄱ, ㄴ, ㄷ ② ㄱ, ㄴ, ㄹ ③ ㄱ, ㄷ, ㄹ ④ ㄴ, ㄷ, ㄹ PCB를 가지고, 현재 실행중이거나 곧 실행 가능하고, CPU를 할당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정의할 수 있는 것은? ① 작업 집합 ② 세그먼테이션 ③ 모니터 ④ ..

본 게시글은 그림으로 배우는 구조와 원리 운영체제 (개정 3판) - 연습문제 2장 풀이입니다. 제가 이 책을 공부하면서 풀었던 풀이의 흔적이므로 정답이 아닐 수 있습니다. 혹여나 틀린 부분이 있어 오류를 댓글로 지적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운영체제의 기능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① 컴퓨터 시스템의 초기화 기능 ② 효율적인 자원 관리와 할당 기능 ③ 고급 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는 기능 →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가 담당함. 운영체제는 이러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키고 관리하는 역할을 함 ④ 오류 검사 및 복구 기능 운영체제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② 주변장치 관리 ③ 데이터 압축 및 복원 → 주로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나 유틸리티 프로그램의 기능으로, 운영체..

본 게시글은 그림으로 배우는 구조와 원리 운영체제 (개정 3판) - 연습문제 1장 풀이입니다. 제가 이 책을 공부하면서 풀었던 풀이의 흔적이므로 정답이 아닐 수 있습니다. 혹여나 틀린 부분이 있어 오류를 댓글로 지적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컴퓨터 내부에서 프로세서 메모리 사이의 정보 전송에 사용하는 통로는? (1) 버스 → 데이터, 주소, 제어 신호 등을 컴퓨터의 다양한 구성 요소 간에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공용 통신 시스템 (2) 레지스터 (3) 블록 (4) 보조기억장치 프로세서에서 사용하는 버스 형태가 아닌 것은? (1) 주소 버스 (2) 제어 버스 (3) 데이터 버스 (4) 시스템 버스 → 위 선지들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용어 목적이 특수한 값 하나를 저장하거나 연산을 처리하다가 중간 값을 저장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