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게시글은 AI시대의 컴퓨터 개론 - 내용 점검 문제 5장 풀이입니다. 제가 이 책을 공부하면서 풀었던 풀이의 흔적이므로 정답이 아닐 수 있습니다. 혹여나 틀린 부분이 있어 오류를 댓글로 지적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객관식
1. 커널과 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운영체제는 내부의 커널과 외부 사용자와의 커널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는 쉘로 구성된다.
B. 커널은 주기억장치 내에 상주하면서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프로세스 등 여러 자원을 배분하는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C. 쉘은 그래픽 또는 테스트 중심의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GUI와 CLI 방식으로 나뉜다.
D. 운영체제를 통해 사용자 명령을 커널이 받아 해석하고 쉘에 전달하면 쉘은 하드웨어를 제어한다.
실제 작동 순서는 반대이다. 사용자가 쉘을 통해 명령어를 입력하고, 쉘이 명령어를 해석 후 커널에 전달해 커널이 하드웨어를 제어한다. 하드웨어 제어는 쉘이 아닌 커널의 역할이다.
2. 운영체제의 기능 중 옳지 않은 것은?
A. 컴퓨터 시스템 초기화 설정 기능
B.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편리한 인터페이스 기능
C. XML 웹 서비스를 요청하고 응답하는 기능
D. 하드디스크의 오류 검사 및 복구 기능
XML 웹 서비스의 요청과 응답은 운영체제의 기능이 아닌 응용 프로그램이나 웹 서버/클라이언트의 기능이다.
운영체제의 주요 기능은 시스템 자원 관리, 프로세스 관리, 파일 시스템 관리, 메모리 관리, 입출력 장치 관리 등이다.
3. 운영체제의 기능 중 옳지 않은 것은?
A.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여러 시스템 프로그램들의 집합이다.
B. 하드웨어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C. 데이터와 파일의 저장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D. 운영체제의 종류로는 오라클, SQL 서버 등이 있다.
4. 다음 중 개인용 컴퓨터에 해당하는 운영체제로 가장 보기 어려운 것은?
A. MS-DOS
B. Unix 계열
C. Linux 계열
D. MacOS
Unix 계열 운영체제는 대부분 서버용 제품으로 사용된다.
macOS가 Unix 계열이긴 하지만 예외적인 케이스고, 대부분의 Unix 제품(AIX, HP-UX, Solaris 등)은 서버 환경에서 사용되는 운영체제다.
5. 다음 중 사용자 인터페이스 종류인 명령행 인터페이스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A. 명령행 인터페이스는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기능을 아이콘이나 메뉴로 보여주고 사용자가 마우스로 선택해서 작업이 수행하는 방식을 말한다.
B.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아이콘이나 메뉴로 보여주고 사용자가 마우스로 선택해서 작업이 수행하는 방식을 말한다.
C.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림을 이용한 의사소통 방법을 제공해 인간 공학적으로 보다 만족스럽고, 초보자도 직관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D. 명령행 인터페이스는 명령어 중심의 명령을 숙지해야 하기 때문에 초보자에게 불편하고, 숙달되기까지 않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금은 이용되지 않는다.
명령행 인터페이스$_{CLI}$는 키보드로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여 컴퓨터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이다.
A 선지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_{GUI}$에 대한 설명을 명령행 인터페이스라고 잘못 설명하고 있다. CLI는 텍스트 기반의 인터페이스로 사용자가 명령어를 직접 입력해야 한다.
6. 운영체제의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A.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필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B. 각기 필요한 업무를 원활하게 소화하기 위함이다.
C.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해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함이다.
D. 많은 업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7.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실시간 처리 시스템
B.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
C. 다중 처리 시스템
D. 다중작업
다중 프로그래밍은 여러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동시에 적재해 실행하는 것에 중점을 두며, 다중 처리는 여러 개의 CPU를 사용하는 시스템이고, 실시간 처리는 정해진 시간 내 처리를 보장하는 시스템이다.
8. FIFO의 원어를 올바르게 기술한 것은?
A. First In First Out
9.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실시간 처리 시스템
B.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
C. 다중 처리 시스템
D. 다중 작업
실시간 처리 시스템$_{Real-Time \space Processing \space System}$은 시간 제약 조건이 있는 작업을 정해진 시간 내에 처리해 즉각적인 응답을 보장하는 시스템이다.
10. 파일 관리자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파일의 접근을 제어한다.
B. 파일을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는 기법을 제공하지 못한다.
C. 파일의 생성, 삭제, 수정을 감독한다.
D. 파일을 디스크 어디에 저장할지를 감독한다.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같은 파일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성 제어와 파일 잠금$_{file \space locking}$ 등의 메커니즘을 제공하고,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설정해 여러 사용자 간의 안전한 파일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11. 다음이 설명하는 것은 무엇인가?
A. 실시간 처리 시스템
B.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
C. 다중 처리 시스템
D. 다중작업
12.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A. 2개 이상의 여러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에 동시에 저장한다.
B. 2개 이상의 CPU로 여러 프로그램이 동시에 실행된다.
C. 한 프로그램씩 순차적으로 돌아가면서 조금씩 수행된다.
D. 우선순위에 따라 작업을 선정해 실행한다.
다중 프로그래밍은 하나의 CPU를 사용하여 여러 프로그램을 번갈아가며 실행하는 방식이다. 2개 이상의 CPU를 사용하는 것은 다중 처리$_{Multiprocessing}$ 시스템의 특징이다.
13. 다음 멀티태스킹의 의미로 적절한 것은?
A. 여러 명의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시분할시스템으로 동시에 작업하는 것
B. 한 번에 한 가지 작업이나 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시스템
C. 여러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존재해 조금씩 돌아가면서 수행
D. 한 사람의 사용자가 한 대의 컴퓨터로 2가지 이상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
멀티태스킹$_{Multitasking}$은 한 명의 사용자가 하나의 컴퓨터에서 여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다.
14. 리눅스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A. 핀란드의 리누스 토발즈에 의해 개발된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기반의 운영체제다.
B. 리눅스는 오픈 소프트웨어로 많은 프로그램 개발자들이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C.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지원해 개발자 중심으로 급속히 확산되었다.
D. TCP/IP를 강력하게 지원하는 등 네트워크 기능이 강화되었고, 다중 사용자, 다중 프로그래밍 방식을 지원한다.
유닉스 기반 운영체제다.
15.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윈도우11은 스마트폰의 안드로이드 앱을 내려받고 실행할 수 있고, 협업도구인 팀스가 기본 탑재돼있다.
B. IBM과 마이크로소프트는 협력해 인텔의 80286 CPU에 적합하도록 16비트 운영체제 우분투$_{ubuntu}$를 개발했다.
C. 제록스 스타 워크스테이션은 최초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식의 운영체제를 탑재한 컴퓨터이다.
D. 리눅스는 핀란드의 리누스 토발즈에 의해 개발된 유닉스 기반의 운영체제이다.
IBM과 마이크로소프트가 협력하여 개발한 것은 우분투가 아닌 OS/2다.
우분투는 데비안 GNU/리눅스를 기반으로 한 리눅스 배포판이다.
16. 유닉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벨 연구소의 데니스 리치와 켄 톰슨이 참여한 멀틱스$_{MULTICS}$ 운영체제 팀에서 개발한 운영체제다.
B. C언어와 어셈블리어로 작성되어 있어 다른 시스템에는 쉽게 적용할 수 없다.
C. 유닉스의 소스코드는 공개되어 있어 사용자들이 소스를 수정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D. 유닉스 운영체제를 구성하는 중요 요소로서 커널과 쉘이 있다.
C언어는 하드웨어에 독립적인 고급 언어이므로, 다른 시스템에 쉽게 이식할 수 있다.
17.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계열의 운영체제는 도스 운영체제의 명령행 인터페이스 방식에서 발전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_{GUI}$ 방식을 채택한 운영체제이다.
B.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운영체제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_{GUI}$ 방식을 채택한 최초의 운영체제이다.
C.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운영체제가 처음 발표된 것은 1983년이었으나 실제로 사용자가 널리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1993년 윈도우 3.1부터이다.
D. 윈도우 3.1 이전의 윈도우는 메뉴, 리스트박스, 콤보박스, 버튼을 포함한 대화상자 등의 GUI 기본 구성 요소를 사용한 초보적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했다.
GUI를 최초로 채택한 운영체제는 제록스의 알토(Alto) 컴퓨터에 탑재된 운영체제다. 이후 애플이 매킨토시에 GUI를 도입했고,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들보다 늦게 윈도우에 GUI를 도입했다.
18.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A.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대표적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식의 운영체제는 윈도우$_{Windows}$다.
B. OS/2는 인텔의 80386/80486 계열 CPU에서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도록 설계한 운영체제다.
C. 유닉스는 어셈블리어와 포트란으로 작성되었다.
D. 리눅스는 유닉스 기반의 운영체제다.
유닉스는 초기에 어셈블리어로 작성되었다가 이후 C언어로 재작성되었다. 포트란이 아닌 C언어를 사용해 이식성을 높였다. C언어는 데니스 리치가 유닉스 개발을 위해 만든 언어다.
19. 빈칸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A. 가상 데스크톱
B. 탐색기
C. 작업
D. 클립보드
20. 탐색기에서 자주 사용하는 문서나 파일을 연결해놓은 것은?
A. 가상 데스크톱
B. 레이아웃
C. 옵션
D. 바로가기
괄호 채우기
1. 운영체제의 ___은 주기억장치 내에 상주하면서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프로세스 등 여러 자원을 배분하는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커널$_{kernel}$
하드웨어와 가장 밀접한 수준에서 동작하면서 시스템의 모든 자원을 관리한다.
메모리 관리, 프로세스 관리, 장치 관리, 파일 시스템 관리 등 운영체제의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식의 영어 약자는 ___이다.
GUI
3. ___는 입출력 장치의 효과적인 할당과 회수 등의 기능을 관리한다.
장치 관리자
시스템의 모든 입출력 장치를 관리한다. 주요 기능으로는 입출력 장치의 할당, 반환, 입출력 요청의 스케줄링, 장치 드라이버 관리 등이 있다.
4.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동시에 주기억장치 내부에 적재하고 동시에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___라 한다.
다중 프로그래밍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에 동시에 적재해 CPU 이용률을 높이는 방식이다.
하나의 프로그램이 입출력 작업 등으로 CPU를 사용하지 않을 때 다른 프로그램이 CPU를 사용할 수 있게 해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인다. 이는 CPU 유휴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5. ___는 메모리에 적재되어 CPU의 처리를 기다리거나 CPU에 선택되어 처리가 수행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프로세스
디스크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적재되어 실행되면 프로세스가 된다.
프로세스는 프로그램 카운터, 레지스터 값, 프로세스 상태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운영체제에 의해 CPU 시간과 메모리 등의 자원을 할당받아 작업을 수행한다.
6. 컴퓨터 장치나 프로그램에서 특정한 일이 발생했을 때 운영체제에게 특정한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요구하는 이벤트를 ___라 한다.
인터럽트$_{interrupt}$
CPU가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을 때 입출력 장치나 예외상황 등 처리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해 처리가 필요할 때 발생하는 신호다.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현재 실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운영체제가 인터럽트를 처리한 후 다시 이전 작업으로 돌아가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7. ___는 하나의 시스템을 여러 명의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해 여러 작업을 처리할 때 이용하는 처리 방식이다.
시분할 처리 시스템$_{Time \space Sharing \space System}$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방식이다.
CPU 시간을 아주 짧은 시간 단위로 분할해 각 사용자의 작업을 번갈아 처리함으로써 각 사용자에게 독립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환경을 제공한다.
8. ___는 2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를 사용해 작업을 여러 개로 분담해 프로그램을 동시에 수행하는 방식이다.
다중 처리 시스템$_{Multiprocessing \space System}$
여러 개의 CPU를 사용해 프로그램을 병렬로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하나의 작업을 여러 CPU에 분산시켜 처리하거나, 여러 작업을 각각의 CPU에서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9. ___는 처리를 요구하는 작업이 발생할 때마다 지정된 짧은 시간 내에 작업을 처리해 확실한 응답이나 출력을 보장하는 방식이다.
실시간 처리 시스템$_{Real-Time \space Processing \space System}$
데이터 발생 즉시 처리해 결과를 산출하는 시스템이다.
10. ___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여러 자료 저장 장소와 컴퓨터 시스템에 작업과 자원을 나누어 서로 통신을 하면서 일을 처리하는 방식이다.
분산 처리 시스템$_{Distributed \space Processing \space System}$
네트워크로 연결된 여러 컴퓨터가 상호 협력해 작업을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각 컴퓨터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면서도 네트워크를 통해 자원을 공유하고 작업을 분담한다.
'CSE > CS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학개론] AI시대의 컴퓨터 개론 - 내용 점검 문제 7장 (0) | 2025.01.01 |
---|---|
[컴퓨터학개론] AI시대의 컴퓨터 개론 - 내용 점검 문제 6장 (0) | 2025.01.01 |
[컴퓨터학개론] AI시대의 컴퓨터 개론 - 내용 점검 문제 4장 (4) | 2025.01.01 |
[컴퓨터학개론] AI시대의 컴퓨터 개론 - 내용 점검 문제 3장 (1) | 2025.01.01 |
[컴퓨터학개론] AI시대의 컴퓨터 개론 - 내용 점검 문제 2장 (0) | 2025.01.01 |
컴퓨터 전공 관련, 프론트엔드 개발 지식들을 공유합니다. React, Javascript를 다룰 줄 알며 요즘에는 Typescript에도 관심이 생겨 공부하고 있습니다. 서로 소통하면서 프로젝트 하는 것을 즐기며 많은 대외활동으로 개발 능력과 소프트 스킬을 다듬어나가고 있습니다.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