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 탐색 (search)CSE/자료구조 (data structure)2022. 11. 18. 00:00
Table of Contents
탐색이란?
자료구조에서 탐색이란 여러 개의 데이터 중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작업을 말합니다.
탐색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 탐색
- 정렬된 상태에서 탐색
이번 포스팅에서는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탐색을 살펴보겠습니다.
순차 탐색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 탐색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리스트의 첫 번째 요소부터 하나씩 순차적으로 요소를 방문해서 비교를 하면 됩니다.
int seq_search(int key, int low, int high) {
for(int i = low; i <= high; i++) {
if(list[i] == key) {
return i;
}
}
return -1;
}
순차 탐색의 시간복잡도
순차 탐색의 시간복잡도는 데이터의 개수가 $n$개 있다고 가정하면 $O(n)$이 소요됩니다.
728x90
반응형
'CSE > 자료구조 (data stru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구조] 색인 순차 탐색 (indexed sequential search) (0) | 2022.11.20 |
---|---|
[자료구조] 이진 탐색 (binary search) (0) | 2022.11.19 |
[자료구조] 기수 정렬 (radix sort) (0) | 2022.11.16 |
[자료구조] 힙 정렬 (heap sort) (0) | 2022.11.15 |
[자료구조] 퀵 정렬 (quick sort) (0) | 2022.11.14 |
@junyeokk :: 나무보다 숲을
컴퓨터 전공 관련, 프론트엔드 개발 지식들을 공유합니다. React, Javascript를 다룰 줄 알며 요즘에는 Typescript에도 관심이 생겨 공부하고 있습니다. 서로 소통하면서 프로젝트 하는 것을 즐기며 많은 대외활동으로 개발 능력과 소프트 스킬을 다듬어나가고 있습니다.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